본문 바로가기
결혼 프로젝트

(24탄) 결혼식 후 양가 부모님께 감사 인사, 센스 있게 전하는 방법

by 나는 진심이다 2025. 4. 19.

 

결혼은 했지만, 아직 끝나지 않은 일이 있다

양가 부모님께 감사 인사 전하기

결혼식이라는 인생 최대의 이벤트를 마치고 나면
한편으론 후련하고, 한편으론 멍~ 하죠.

그 와중에 꼭 해야 할 일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양가 부모님께 감사 인사 드리기입니다.

신랑신부가 되었지만, 이제 진짜 어른이 되려면
부모님께 제대로 인사드리는 것부터 시작해야죠.


 

인사는 언제 드려야 할까?

정답은
결혼식 다음 날 오전 또는 그 다음날 저녁까지입니다.

부모님도 결혼식 치르느라 체력 소진에 감정 소모까지 크셨기 때문에
당일 밤은 피로 누적으로 정신 없으실 수 있어요.

따라서 다음 날 조용한 시간에
직접 찾아뵙거나 전화로 정중하게 인사드리는 걸 추천합니다.


꼭 직접 찾아가야 할까?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같은 지역이면 직접 방문이 제일 좋고,
  • 멀리 떨어져 있다면 영상통화 or 정성 담긴 전화도 충분합니다.

특히 신혼여행 전에 인사를 드리면
부모님 입장에서도 훨씬 뿌듯하고 마음이 놓이죠.


뭐라고 인사드리면 좋을까?

단순히 “고생하셨어요”보다
구체적이고 감정을 담은 멘트가 더 감동적입니다.

신랑이 장인장모님께

  • “어제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 어머님 아버님 덕분에 식이 너무 따뜻하고 예쁘게 마무리됐어요.”
  • “부족한 저를 믿고 따뜻하게 맞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잘 살아가는 모습 보여드릴게요.”

신부가 시부모님께

  • “어머님, 아버님 덕분에 정말 뜻깊고 감사한 하루였습니다.”
  • “앞으로 저희 잘 사는 모습으로 꼭 보답드릴게요.”

가장 중요한 건 진심, 그리고 감사의 표현을 말로 직접 하는 용기입니다.


직접 찾아뵙는 경우, 준비물은?

  1. 간단한 꽃다발
  2. 감사 카드 한 장
  3. 작은 선물 or 부모님이 좋아하시는 간식

돈 쓰라는 게 아니라,
정성이 느껴지는 포인트 하나만 챙기면 됩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좋아하시는 단팥빵” 같은 걸 사가는 것만으로도
효자, 효녀 등극 가능.


남편과 아내가 각자 따로 드려야 할까?

가능하면
부부가 함께 인사드리는 걸 추천합니다.

각자의 부모님이긴 해도
이제는 서로의 가족이기도 하니까요.

같이 인사드리고,
서로 부모님께 “감사합니다” 한마디만 해도
이후 관계가 훨씬 부드러워집니다.


부모님께 인사드릴 때 주의할 점

  • 시간은 너무 길지 않게 (1시간 이내가 적당)
  • 말보다 표정과 태도가 더 중요
  • 촬영이나 SNS는 잠시 내려두기

이건 공적인 예절이 아니라,
가족 간의 마음 나누기니까요.


마지막으로 기억할 것

결혼은 두 사람의 결합이자,
두 가족이 이어지는 의식이기도 합니다.

결혼식이 끝나고 드리는 감사 인사는
그 모든 과정을 함께해 준 부모님께 드리는
첫 번째 진짜 인사입니다.

말 한마디에 부모님은
눈시울 붉히기도 하고,
한평생의 보람을 느끼기도 해요.

고맙다는 말,
너무 늦지 않게, 진심 담아 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