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혼 프로젝트

(25탄) 신혼부부의 축의금 정리 실전 노하우 대공개

by 나는 진심이다 2025. 4. 19.

결혼식 후 받은 축의금 정리하는 꿀팁

결혼식이라는 게 끝나고 나면 마음은 몽글하지만
테이블 위에 수북이 쌓인 축의금 봉투는 현실을 두드려요.
자, 이제부터는 ‘신랑의 엑셀 본능’을 꺼낼 시간입니다.


1. 봉투는 이름부터! 결혼식 당일 체크가 핵심

“이거 누구지?”
이 한마디가 반복되지 않도록,
봉투를 받는 그 순간에 이름을 반드시 적어두세요.

가족이나 친구에게 "이름 없으면 꼭 물어봐줘!"
미션을 주세요. 현장에서 이름 스티커 붙이면 더 완벽합니다.


2. 분류는 3단계: 가족/친척 – 친구 – 직장

축의금 정리의 핵심은 분류입니다.

  • 가족/친척은 부모님이 받은 것까지 포함해 하나로 묶고,
  • 친구는 신랑/신부 구분해서 관리,
  • 직장인은 부서나 직급으로 구분해 놓으면 나중에 감사 인사할 때도 편해요.

“얘 돌잔치엔 우리가 갔는데, 우리 결혼식엔 안 왔네?”
이런 생각 하지 않으려면 기록은 정직하게!


3. 엑셀 파일 만들어서 깔끔하게 정리

구글 스프레드시트 추천드립니다.
왜냐고요? 공동작업 가능하니까요!
신랑, 신부 둘 다 실시간 확인 가능!

기본 항목 예시:

  • 이름
  • 관계 (신부 친구, 신랑 직장 동료 등)
  • 금액
  • 전달 방법 (직접/계좌)
  • 답례 여부

비고 (예: 부부 동반, 축사 해줌 등)


4. 답례는 기준 잡고, 선 넘지 않게

예의는 필요하지만 과한 부담은 피하자!

기준 예시:

  • 10만 원 미만: 문자 인사
  • 10만 원 이상: 기프티콘
  • 30만 원 이상: 소정의 선물 or 식사

답례는 정성이고, 기념은 마음입니다.
그런데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면 역효과니까 기준은 확실하게!


5. 축의금은 결혼 예산 정산의 시작입니다

이 타이밍에 '결혼식 비용 시트'도 만들어주세요.
들어온 돈 vs 나간 돈. 정산해서
적자 여부도 체크해보는 게 중요하죠.

"우리 결혼식에 쓴 돈이 얼마더라?"
이제 한눈에 딱 보여요. 신랑의 스마트한 매너, 엑셀에서 빛납니다.


6. 마지막은, 인사로 마무리

축의금은 금액보다 마음입니다.
감사의 메시지, 문자로라도 꼭 남겨주세요.

예시:

“와줘서 정말 고마웠어! 덕분에 행복한 하루였어 :)”
이 한 줄이면 충분합니다. 나중에 돌아옵니다. 진짜로요.


축의금 정리, 이렇게만 해보세요

  • 이름은 꼭!
  • 분류는 정확히
  • 기록은 꼼꼼하게
  • 답례는 센스 있게
  • 인사는 따뜻하게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둘이 같이 웃으며 정리하는 시간 자체가 신혼의 시작이다” 라는 것!

사랑과 감사, 그리고 약간의 회계정신으로
여러분의 결혼생활이 더 단단해지기를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