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혼 프로젝트

(3탄) 결혼 준비 돈 얼마나 드나요? 항목별 정리해드림

by 나는 진심이다 2025. 4. 4.

연애할 땐 몰랐습니다.
결혼 준비에 이렇게 많은 돈이 들어갈 줄은…

"결혼하자" 한마디면 끝날 줄 알았던 순수한 예랑이,
이제는 예산표와 스프레드시트를 끼고 사는 남자가 되어버렸습니다.


예산을 짜야 하는 이유: 통장 잔고가 사라지기 전에

처음에는 우리도 “그냥 필요한 거 하다 보면 되겠지~” 했어요.
그랬던 우리가 스드메 견적 받고 충격 먹고,
예식장 계약금 입금하면서 정신이 번쩍 들었죠.

“이러다 진짜 통장 바닥 보겠다.”
그때부터 정신 차리고 예산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결혼 준비는 소소한 지출이 많지만, 그 소소함이 모이면 차 한 대 값이에요.
가랑비에 옷 젖는다고, 티 안 나게 돈이 샙니다.
이건 진짜 해본 사람만 압니다.


현실적인 결혼 준비 예산표 (예랑이 실제 버전)

제가 직접 만든 예산표 항목이에요.
“이거 진짜 다 필요해?” 싶은 것들조차
막상 하나씩 빠지면 분위기가 안 살아서 결국 다 들어갑니다.

구분 금액 설명 비고
예식장 대관 (천차만별) 200~1,000만원 (그 이상) 장소 + 식사 + 음료 포함 본인의 욕심에 따라 다름
스드메 200 ~ 350만원 기본 패키지 기준  
예복 & 드레스 추가 옵션 100 ~ 300만원 정장 원단, 드레스 재질 차이  
양가 부모님 한복 100 ~ 200만원 대여로 가즈아  
청첩장 20~30만원 씸플이즈 베스트  
혼수 (가전, 가구) 1,000 ~ 2,000만원 신혼집 규모에 따라 다름 고르다 보면 욕심나서 추가
신혼여행 500 ~ 1,000만원 (그 이상) 환율, 항공권, 호텔컨디션 힘 줄 때 주고 뺄 때 빼자
예단/예물 선택 양가 합의 필요  
추가 촬영/앨범/기타비용 50 ~ 100만원 자잘하게 붙는게 많음  

 


예비신랑이 놓치기 쉬운 항목들

  • 답례품: 하객 수 × 단가 = 생각보다 큽니다.
    예: 300명 × 5천 원 = 150만 원 (헉)
  • 사회자 사례비, 축가 준비비, 식순 프린트비:
    이건 소소하지만 빠져서는 안 되는 항목들.
  • 운송비, 주차비, 셔틀버스 비용:
    지방 예식이면 무조건 고려해야 하는 교통비.
  • 웨딩박람회에서의 무심한 결제들:
    “사은품 준다길래…” → 정신 차리면 카드값 폭발.

촬영 추가본, 앨범 업그레이드:
웨딩 사진은 처음엔 “기본으로 충분해요” → “이건 꼭 넣어야죠!” 루트입니다.


예산 짤 때 꿀팁 (진짜 해봐서 드리는 팁)

  1.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관리하세요.
    • 실시간 공유 가능해서 신부님과도 협업 O
    • 카페에서 핸드폰으로 바로 확인 가능
  2. 예상 예산 / 실제 지출 나누기
    • “계획은 계획일 뿐, 실제는 다르다” 이거 체감합니다.
  3. 우선순위 태그 달기
    • 꼭 필요한 것
    • 있으면 좋은 것
    • 여유 되면 고민할 것
  4. 잔액은 비상금 or 신혼여행 자금으로 돌리기
    • 나중에 “아 이 돈 남겨두길 잘했네” 하는 순간 반드시 옵니다.
  5. 예산 오차율을 감안해서 10~15% 정도 더 넉넉히 잡기

안 쓰면 다행, 쓰게 될 수도 있음


예랑이의 소감

처음엔 너무 복잡해서 머리 아팠어요.
“결혼 준비가 왜 이리 많아?” 했던 그때의 나에게 한마디 해주고 싶네요.
“그거 다 네가 할 거야^^”

근데 웃긴 건요.
예산표 만들어 놓고 나니까 마음이 편해졌어요.
“돈은 나가도 계획대로 나가니까 덜 억울하다”는 기분?

그리고 신부님한테
“오빠 이렇게 다 정리했어? 대박이다~”
라는 말 들으니까… 이걸로도 충분히 보상받은 기분입니다.